아편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편 전쟁은 19세기 중국에서 발생한 일련의 무력 충돌로, 주로 영국이 중국에 아편 판매를 강요하면서 시작되었다. 중국에서는 아편이 사회 문제로 심화되자 청나라 정부는 아편 무역을 금지하고, 영국은 무역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아편 밀수를 시도했다. 이러한 갈등은 제1차 아편 전쟁(1839-1842)으로 이어졌고, 영국이 승리하여 난징 조약을 체결, 홍콩 할양과 개항을 강요했다. 제2차 아편 전쟁(1856-1860)에서도 청나라는 패배하여 베이징 조약을 통해 추가적인 개항과 영토 할양, 전쟁 배상금 지불 등 불평등 조약을 강요받았으며, 중국은 반식민지화의 길을 걷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편 전쟁 - 베이징 조약
베이징 조약은 1860년 제2차 아편전쟁 후 청나라가 영국, 프랑스, 러시아와 체결한 불평등 조약으로, 톈진 조약 비준 강요, 영토 할양 및 배상금 지불을 통해 청나라 주권을 훼손하고 서구 열강의 아시아 침략을 심화시켰으며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아편 전쟁 - 조계
조계는 중국 내에서 외국 정부나 외국인이 장기간 대여하여 행정권 행사가 제한된 공간적 이권으로, 전관 조계와 공동 조계로 나뉘며, 아편 전쟁 이후 외국인 거주 및 상업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나 불평등 조약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도 있었다. - 19세기 중국 - 소도회
소도회는 1850년대 중국에서 반청을 기치로 푸젠성 샤먼에서 조직되어 광둥성과 푸젠성 출신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한 비밀결사 조직으로, 한때 샤먼과 상하이 등을 점령했으나 진압되었고 태평천국 운동에 영향을 주는 등 중국 근대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19세기 중국 - 황사회
황사회는 중국의 비밀 결사로, 청나라 말 농촌 자위 운동으로 시작하여 중화민국 시기 반정부 활동을 거쳐 일본 제국 저항 운동을 벌였으나 중국 공산당에 의해 숙청되었으며, 밀레니엄주의와 정신적 군주주의 사상을 따랐다. - 청나라가 참전한 전쟁 - 제1차 아편 전쟁
제1차 아편 전쟁은 1839년부터 1842년까지 청나라와 영국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광저우 무역 체제와 아편 밀매가 원인이 되어 영국의 승리로 끝났으며, 난징 조약 체결로 청나라의 몰락을 가속화하고 서구 열강의 아시아 침략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 청나라가 참전한 전쟁 - 청불 전쟁
청불 전쟁은 1880년대 프랑스가 베트남을 식민 지배하려는 과정에서 청나라와 무력 충돌한 사건으로, 프랑스의 승리로 끝나 베트남에 대한 프랑스의 보호국 지위를 인정하고 동아시아 국제 질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편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분쟁 정보 | |
분쟁 | 아편 전쟁 (阿片戰爭) |
![]() | |
날짜 | 제1차: 1840년 - 1842년 제2차: 1856년 - 1860년 |
장소 | 청나라 동부 해안 |
결과 | 서양 열강의 승리 불평등 조약 체결 제1차: 난징 조약 제2차: 베이징 조약, 톈진 조약 러시아 제국의 연해주 획득 영국의 홍콩 및 주룽반도 획득 프랑스의 광저우만 조차 중국의 반식민지화 |
교전국 | |
교전국1 | 1839-1842 |
교전국1a | 1856-1860 프랑스 |
교전국2 | 1840-1842 |
교전국2a | 1856-1860 |
지휘관 | |
지휘관1 | 1840-1842 빅토리아 여왕 파머스턴 경 찰스 엘리엇 조지 엘리엇 앤서니 스트랜샴 1856-1860 빅토리아 여왕 마이클 세이무어 제임스 브루스 나폴레옹 3세 장밥티스트 그호 오귀스트 L. 포테 제임스 뷰캐넌 조시아 타트네일 알렉산드르 2세 |
지휘관2 | 1839-1842 도광제 임칙서 치샨 관천배 1856-1860 함풍제 혁흔 엽명침 보르지기트 셍게린첸 |
병력 | |
사상자 | |
기타 | |
추가 정보 | |
관련 정보 | '아편, 淸이후 지위·여가 상징물로 토착화' 중국 부 유출·아편전쟁 일으킨 ‘유사화폐’ |
다른 이름 | |
영어 | Opium Wars |
중국어 간체 | 鸦片战争 |
중국어 번체 | 鴉片戰爭 |
로마자 표기 | Yāpiàn zhànzhēng |
전쟁 배경 | |
아편 사용 역사 | 명나라 초까지는 약으로 사용됨. 명나라 황실과 귀족들 사이에서 성욕을 일으키는 미약(媚藥)으로 사용됨. 명나라 효종 시대에 부패한 관리들에 의해 '미약'으로 본격적으로 사용됨. 옹정제 때 아편 폐해를 인식하고 일반인 아편 흡연을 금함. |
관련 문서 | |
다른 뜻 | 이 문서는 아편 전쟁에 관한 것입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아편 전쟁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2. 아편전쟁의 배경
18세기 중국은 유럽과의 무역에서 자기, 비단, 차 등을 수출하고 은을 수입하여 흑자를 기록했다. 그러나 영국 동인도 회사는 벵골 지방에서 재배한 아편을 중국에 밀수출하여 무역 적자를 해소하려 했다.[6] 1797년까지 영국 동인도 회사는 매년 4,000 상자(각 상자 무게 77kg)의 아편을 사설 상인들에게 판매하여 중국으로 밀수출했다.[7]
아편은 수세기 동안 마취제 성분을 가진 약재로 사용되었지만, 중국에서 오락 목적으로 흡연하는 새로운 관습이 생겨나면서 수요가 급증하고 중독자가 늘어났다. 이에 중국 황제들은 1729년, 1799년, 1814년, 1831년에 아편을 불법화하는 칙령을 발표했지만, 중국의 밀수업자들과 공모한 관리들이 이익을 추구하면서 아편 수입은 오히려 증가했다.[8] 일부 미국 상인들도 터키에서 중국으로 아편을 밀수입하는 무역에 가담했다.[9]
1833년까지 중국 아편 무역은 30,000 상자로 급증했다.[7] 영국과 미국 상인들은 아편을 광주의 자유 무역항 창고로 보내 중국 밀수업자들에게 판매했다.[8][10] 1834년 영국 동인도 회사의 중국과의 무역 독점이 종식되면서 아편 무역은 더욱 급증했다.
아편 소비에 대한 도덕적 문제와 은 유출을 우려한 도광제는 린쩌슈에게 무역 종식을 명령했다. 1839년 린쩌슈는 광주에서 빅토리아 여왕에게 아편 무역 중단을 요청하는 공개 서한을 발표했지만, 이 서한은 여왕에게 전달되지 않았다. 3월 18일 도광제의 칙령이 발표되어 아편 밀수에 대한 엄중한 처벌이 강조되었다. 린쩌슈는 외국 상인들이 보유한 아편을 포함하여 광주에 있는 모든 아편을 압수하도록 명령했고,[11] 영국 상인들은 그를 달래기 위해 약간의 양을 넘겼다.[12] 중국군이 봉쇄를 강화하자, 영국 무역 감독관 찰스 엘리엇은 린쩌슈가 정한 기한 3일 후에 도착했다. 엘리엇은 영국 정부로부터 모든 아편을 외상으로 구입한 후 20,000상자(1,300톤)의 아편을 린쩌슈에게 넘겼고, 린쩌슈는 이를 후문에서 폐기했다.[13]
2. 1. 중국의 아편 문제
당나라 시대에 아랍에서 들어온 아편은 명나라 시대부터 황실과 귀족들 사이에서 성욕을 일으키는 미약(媚藥)으로 남용되기 시작했다. 청나라 시대에는 흡연 문화와 함께 아편 중독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었다.[27]2. 1. 1. 명나라 시대의 아편
당나라 시대에 아랍에서 아편이 중국으로 들어와 약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명나라 시대가 되면서, 아편은 문제가 되기 시작한다.[27]명나라 9대 황제 효종(1487~1505) 때는, 황실과 귀족들 사이에서 아편이 성욕을 일으키는 미약(媚藥)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는 명나라 시대의 방중술과 육보단 등 성을 기교 측면에서 주로 연구하고 탐닉한 결과였다.[28] 이후 황실과 상류층에서 아편은 회춘약과 미약으로 유행하였다. 실제로 명나라 만력제의 유골에서는 아편의 주성분인 모르핀이 다량 검출되었다.[29] 만력제 때인 1572년에는 마카오가 금, 은, 도자기와 함께 아편을 무역할 수 있도록 중앙 조정에서 승인까지 해주었다.[30]
2. 1. 2. 청나라 시대의 아편
청나라 초기 아편은 명나라처럼 황실과 상류층에서만 유행하여 부와 교양의 상징처럼 여겨졌다.[31]16세기 담배 도입으로 중국에 흡연 문화가 시작되었고, 17세기에는 담배가 노동자들에게까지 일반화되었다. 이 시기 청나라 내 아편 경작 면적이 늘면서 가격이 하락, 사회 각계로 확산되었다.[32] 옹정제는 아편의 폐해를 인식하여 금지령을 내리기도 했다.[33]
2. 2. 영국의 무역 적자와 아편 밀수
영국은 산업혁명으로 방직기계에서 생산한 면직물을 청나라에 판매하려 했으나, 청나라는 자체 생산한 면직물이 영국산보다 저렴했다. 영국의 일반 가정은 월수입의 5%를 차 구매에 사용했고, 영국과 청나라 무역 규모의 90%를 차가 차지하면서 영국의 무역 적자는 커졌고, 막대한 양의 은이 청나라로 유입되었다.[34]영국은 무역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인도산 아편을 축구공 모양으로 만들어 약상자에 넣어 청나라에 밀수출했다. 청나라에서 아편은 약으로만 유통이 가능했기 때문이다.[35] 인도산 아편은 중국에 판매하면 1,000배의 이익이 남을 정도로 저렴했다.[36] 이로 인해 청나라의 아편 가격은 폭락했고, 사회 최하층까지 아편에 손을 대면서 사회 기반이 무너지기 시작했다.[37]
청나라의 아편 수입량은 1770년대 연평균 200상자였으나, 1838년에는 연간 4만 상자까지 증가했다. 아편 중독자도 급격히 늘어 1800년 이전에는 3억 명 중 10만 명이던 중독자가 1839년에는 1,000만 명이 사용할 아편이 수입될 정도였다. 아편 전쟁 후에도 아편 중독자는 계속 늘어 20세기 초에는 4,000만 명이 아편에 중독되었다.[38] 국민당 정부 시절에는 상하이 시의회 등 정부가 아편을 공급하기도 했다.[39]
2. 3. 청나라의 대응과 임칙서의 활약
도광제는 아편 중독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1838년 12월 31일 임칙서를 흠차대신(欽差大臣)과 광동수사로 임명하여 아편 문제 해결을 시도했다.[40] 당시 청나라에서는 어전회의 도중에도 대신들이 아편을 피울 정도였으며, 도광제는 아들 셋을 아편 중독으로 잃기도 했다.[41]임칙서는 아편 21,306상자를 압수해 호문소연(虎門銷烟)에서 폐기하고, 마약상인 60명을 체포하는 등 강경한 조치를 취했다. 또한 영국 상인들에게 아편 무역 중단을 요구하고, 아편 밀매 시 자산 몰수 및 사형을 경고했다. 더불어 영국 빅토리아 여왕에게 편지를 보내 자신의 행동이 불가피했음을 설명하고 아편 무역 중단을 호소했다.[42]

3. 제1차 아편전쟁 (1839-1842)
영국은 산업 혁명으로 생산한 면직물을 청나라에 판매하려 했으나, 청나라의 가내수공업 면직물이 더 저렴하여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영국은 청나라와의 무역에서 막대한 적자를 보았고, 많은 양의 은이 청나라로 유입되었다.[34]
영국은 무역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인도산 아편을 청나라에 밀수출했다. 아편은 약으로만 유통될 수 있었지만, 영국은 이를 악용하여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35] 아편은 중국 사회에 빠르게 퍼져나가 심각한 중독 문제를 야기했고, 사회 기반을 무너뜨렸다.[37] 청나라의 아편 수입량은 1770년대 연평균 200상자에서 1838년에는 4만 상자로 급증했다. 아편 중독자도 1800년 이전 10만 명에서 1839년 1,000만 명이 사용할 아편이 수입될 정도로 크게 늘었다.[38]
아편전쟁은 1839년 청나라와 영국 사이에 발생한 전쟁으로, 통상권과 외교적 지위를 둘러싼 분쟁이었다. 18세기 중국은 유럽과의 무역에서 흑자를 기록했으며, 자기, 비단, 차를 수출하고 은을 수입했다. 18세기 후반, 영국동인도회사는 벵골 지방에서 아편 재배를 확대하여 중국에 밀수출했다.[6] 수세기 동안 아편은 마취제 성분을 가진 약재로 사용되었지만, 중국에서 오락 목적으로 흡연하는 관습이 늘면서 수요가 급증했다. 중국 황제들은 아편을 불법화했지만, 밀수는 계속 증가했다.[8] 일부 미국 상인들도 아편 밀수에 가담했는데, 여기에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할아버지인 워렌 델라노 주니어도 포함된다.[9] 1833년까지 중국 아편 무역은 30,000 상자로 급증했다.[7]
1834년 영국 동인도 회사의 무역 독점이 종식되면서 아편 무역은 더욱 증가했다. 도광제는 린쩌슈에게 무역 종식을 명령했고, 린쩌슈는 1839년 광주에서 아편 무역 중단을 요청하는 공개 서한을 발표했다.[11] 린쩌슈는 광주에 있는 모든 아편을 압수했고, 영국 무역 감독관 찰스 엘리엇은 린쩌슈에게 20,000상자의 아편을 넘겼으며, 린쩌슈는 이를 후문에서 폐기했다.[13]
엘리엇은 런던에 군사력 사용을 건의했고, 1839년 9월 4일 구룡 반도 해협에서 영국과 중국 군함 간에 소규모 충돌이 발생했다.[11] 1840년 5월, 영국 정부는 군사 원정을 보내기로 결정했고, 1840년 6월 21일 영국 해군 함대가 마카오 앞바다에 도착하여 정해 항구를 폭격했다. 영국 해군은 우수한 함선과 대포를 이용하여 중국군에 일련의 패배를 안겼다.[14]
3. 1. 천비해전과 영국의회의 참전 결정
1839년 11월 3일, 중국 광동성 주강 하구 호문(虎門) 해협 입구에서 천비해전이 벌어졌다. 이 해전에서 영국 해군은 청나라 해군을 상대로 승리했으며, 청나라 정크선 29척 중 26척이 파괴되었다.[44] 이에 흠차대신 린쩌슈는 서양 화포 300문을 구매하여 강안 포대에 배치하고, 미국제 철제 증기선까지 구매하는 등 주강 방어선을 강화했다.[44]영국은 천비해전을 통해 청나라 군대의 취약성을 확인하고 아편 전쟁을 일으키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영국 의회 내에서는 아편 문제로 전쟁을 일으키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도 있었다. 격론 끝에 전쟁 예산안은 271대 262표로 가결되었으며, 훗날 영국 수상이 되는 토리당 의원 글래드스턴은 "영국 양심의 무게가 고작 262표냐"라며 비판했다.[45][46]
3. 2. 청나라의 패배와 난징조약 체결
1841년 8월에 아편전쟁이 재개되었고, 영국군 1만 명이 광둥성을 초토화시키고 양쯔강으로 북상했다. 1842년 3월에는 청나라 혁산이 45,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영국군 1,000명에게 대패했다. 1842년 6월에는 상하이, 1842년 7월에는 난징의 핵심기지인 진강까지 함락되었다.[52]이런 상황에서 맺게 된 조약이 난징 조약이다.[52] 조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53]
조약 내용 |
---|
홍콩을 영국에 할양한다. |
광저우, 상하이 등 5개 항구를 개항한다. |
개항장에 영사를 설치한다. |
전쟁배상금으로 1200만달러와 몰수당한 아편의 보상금으로 600만달러를 지불한다. |
독점 상인을 없앤다. |
수출입 상품에 대한 관세를 제한한다. |
청나라와 영국 두 나라 관리는 대등한 자격으로 교섭한다. |
난징 조약은 중국과 서구 열강 간의 최초의 불평등 조약이었다.[15] 이 조약으로 홍콩섬과 주변의 작은 섬들이 영국에 할양되었고, 상하이, 광저우, 닝보, 푸저우, 샤먼(아모이) 5개 도시가 조약항으로 지정되었다.[16] 또한 중국은 파괴된 아편에 대한 배상금으로 2100만달러를 영국에 지불해야 했는데, 600만달러는 즉시 지불하고 나머지는 특정 할부로 지불해야 했다.[17]
4. 제2차 아편전쟁 (1856-1860)
제1차 아편전쟁 이후에도 영국의 무역 적자는 해소되지 않았고, 청나라 내부에서는 반외세 운동이 계속되었다. 1856년, 광저우에 임명된 황실 전권 대신 예명전은 불법 아편 무역을 근절하려 했다.[16]
영국과 프랑스는 톈진 조약 비준과 추가적인 이권 획득을 위해 군사 행동을 재개했다. 1858년 톈진 조약이 체결되었으나, 청나라의 저항으로 1860년 베이징 조약이 체결되면서 전쟁이 종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청나라는 더 많은 항구를 개방하고, 전쟁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으며, 아편 무역이 합법화되었다.[16]
4. 1. 애로호 사건과 열강의 개입
청나라 배인 애로호는 해적질을 하고 다녔는데, 청나라 정부가 이를 단속하였다. 애로호의 선원들은 모두 청나라 사람이었지만, 선주는 영국인이었다. 영국은 청나라가 애로호 단속 과정에 영국 국기를 바닥에 던져 모욕했다며 전쟁을 선언했으나, 사후 조사에서 영국 국기는 발견되지 않았다.[55]영국 하원은 전쟁을 부결시켰고, 제1차 아편 전쟁을 비판했던 글래드스턴은 정부 불신임안까지 제출했다. 그러나 수상이었던 파머스턴은 하원을 해산시키고 투표를 통과시켰다.[56] 영국에 이어 프랑스도 선교사가 처형된 것을 빌미로 전쟁에 참가하기로 했다. 러시아와 미국까지도 참전 의사를 밝혔다.[57]
1853년, 중국 북부는 태평천국 운동으로 격변했고, 태평천국은 난징을 수도로 삼았다. 1856년 10월, 광저우에 임명된 새로운 황실 전권 대신 예명전은 여전히 불법이었던 아편 무역을 근절하려 했다. 그는 영국 등록을 주장하는 배인 '애로우'호를 압수하고 선원들을 쇠사슬로 묶었다. 영국 홍콩 총독 존 보링 경은 마이클 시모어 경 제독의 동인도 및 중국 함대를 소환했고, 함대는 10월 23일 광저우로 향하는 주강 요새를 폭격하고 함락시켰으며 광저우 자체를 폭격했지만, 도시를 점령하고 유지할 만한 충분한 병력이 없었다. 12월 15일, 광저우에서 폭동이 발생하여 유럽 상업 시설에 불이 붙었고, 보링은 군사 개입을 요청했다.[16] 프랑스 선교사의 처형은 프랑스의 지원을 얻었다.[19] 미국과 러시아도 전쟁에 개입했다.
영국과 프랑스는 아편 무역 합법화, 유럽 식민지로의 ''쿨리'' 수송 확대, 영국과 프랑스 시민에게 중국 전역 개방, 외국 수입품에 대한 리금 면제 등 더 많은 양보를 중국에 요구했다.[20]
4. 2. 톈진조약과 베이징 함락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은 광저우를 침략한 후, 양쯔강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북상했다. 이때 청나라는 태평천국운동으로 남경까지 함락된 상황이라 서양 군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러시아까지 청나라 영토 내로 진격해 들어왔고, 연합군은 톈진을 점령하고 1858년 6월 톈진 조약을 맺었다.[58]톈진 조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톈진 조약이 체결되었지만, 영국군과 프랑스군은 청나라의 후속 조치가 미흡하다는 핑계로 계속 진격하여 1859년 베이징 근처까지 이르렀다. 이때, 다구포대의 청나라군이 대포를 발사하여 영국과 프랑스 함대에 큰 피해를 입혔고, 영국과 프랑스 함대는 퇴각하였다.[59]
그러나 영국과 프랑스는 병력을 증강하여 1860년에 영국군은 173척의 함대에 2만 명, 프랑스군은 33척의 함대에 6,300명을 이끌고 되돌아왔다. 영국과 프랑스 함대는 발해만의 주요 항구를 초토화시키고, 다구포대를 공격하여 복수했다. 그리고는 톈진에 상륙하여 베이징으로 진격했다. 그러자 함풍제와 신하들은 열하로 피신했다.[60]

베이징에서 30리 떨어진 팔리교 방어에 나선 청나라 장수는 몽골 출신의 49세 장군 승격림심(僧格林沈)이었다. 그는 태평천국운동 반란군을 진압하며 당시 청나라 최고의 명장으로 대접받았다. 청나라의 총 병력은 27,000명이었고, 이 중에서 몽골 기병이 중심이 된 기마병이 12,000명, 보병이 15,000명이었다. 반면, 영국은 4,000명, 프랑스는 8,000명으로 청나라 군대의 3분의 1 수준이었다. 승격림심의 기마대는 영국과 프랑스 군대를 향해 돌격했으나, 대포와 라이플 소총에 쓰러져 갔다. 몇 시간 만에 전투가 끝났고, 청나라는 12,000명의 기마병 중에 10,000명이 전사하고 2,000명이 살아남았다. 반면 영국군은 2명, 프랑스군은 3명이 전사하여 서양 군대는 총 5명만 전사했다.[61]
영국군과 프랑스군은 이어서 베이징을 점령하고, 청나라 황제의 별궁인 원명원을 약탈하였다. 원명원은 청나라 황제에게 바친 진상품을 보관하는 보물 창고였다. 그리고 건물을 불태워 버렸다. 결국 청나라는 영국, 프랑스, 러시아와 베이징 조약을 맺었다. 톈진 조약에 더하여, 개항 도시를 늘리고, 전쟁 배상금도 늘어났으며, 영국에 홍콩을 할양했다. 그리고 러시아에게 연해주까지 빼앗겼다.
4. 3. 베이징 조약과 청나라의 굴복
광둥성에서 대영항쟁이 전개되는 가운데, 1853년 중국 북부는 태평천국 운동으로 혼란에 빠졌고, 태평천국은 난징을 수도로 삼았다.[54] 1856년 10월, 영국 홍콩 총독 존 보링 경은 마이클 시모어 경 제독의 동인도 및 중국 함대를 소환하여 주강 요새를 폭격하고 함락시켰으며, 광저우 자체를 폭격했다. 12월 15일 광저우에서 폭동이 발생하여 유럽 상업 시설에 불이 붙자, 보링은 군사 개입을 요청했고, 프랑스 선교사의 처형을 이유로 프랑스도 지원에 나섰다.[16]영국과 프랑스는 아편 무역 합법화, 유럽 식민지로의 ''쿨리'' 수송 확대, 영국과 프랑스 시민에게 중국 전역 개방, 외국 수입품에 대한 리금 면제 등을 요구했다.[20] 1858년 톈진 조약을 통해 중국 정부는 전쟁 배상금을 지불하고, 유럽 상업에 10개 항구를 추가 개방하고, 아편 무역을 합법화하며, 외국 무역상과 선교사들에게 중국 내 여행권을 부여했다.[16]
그러나 베이징에 외국 대사 거주와 같은 주요 조항에 대한 중국의 저항이 계속되자, 영국은 공격을 지속했다.[21] 원명원 약탈과 자금성 점령을 포함한 전투 끝에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톈진 조약이 비준되었다.
5. 아편전쟁의 결과와 영향
1860년 2월, 영국과 프랑스는 엘긴과 그로토를 전권대사로 임명하여 1만 5천 명이 넘는 영국군과 약 7천 명의 프랑스군을 이끌고 청나라에 대한 전쟁을 확대했다.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은 베이징을 침략했고, 청나라 황제는 승덕으로 피신했다.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은 원명원에 침입하여 보석류를 약탈하고 불을 질렀다. 약탈당한 문화재 중에는 유명한 원명원 청동 쥐머리가 포함되어 있었다.[22]
10월 7일 아침, 프랑스군이 원명원에 침입하여 약탈을 시작했고, 오후에 도착한 영국군도 약탈에 가담했다. 원명원에 있던 가장 귀중한 물건들이 약탈당했고, 12개의 동물 머리 청동상 모두 해외로 유출되기 시작했다.[23] 10월 18일, 영국군은 원명원에 불을 질렀고, 프랑스는 지원을 거부했다. 불은 사흘 밤낮으로 타올라 원명원 건물들을 잿더미로 만들고 인근 왕실 재산까지 파괴했다.
2020년 12월 기준으로 12개의 청동상 중 7개가 발견되어 중국으로 반환되었으며, 나머지 5개의 행방은 아직 알 수 없다.[24]
6. 아편전쟁에 대한 평가와 역사적 교훈
제2차 아편 전쟁 당시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은 베이징을 침략했고, 청나라 황제는 승덕으로 피신했다.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은 원명원에 침입하여 보석류를 약탈하고 불을 질렀다. 약탈당한 문화재 중에는 원명원 청동 쥐머리가 포함되어 있었다.[22]
1860년 10월 7일 아침, 프랑스군이 원명원에 침입하여 약탈을 시작했고,[22] 오후에 도착한 영국군도 약탈에 가담하여 원명원에 있던 가장 귀중한 물건들이 약탈당했다. 이때 12개의 동물 머리 청동상 모두 해외로 유출되기 시작했다.[23] 10월 18일, 영국군은 원명원을 불태웠고, 프랑스는 지원을 거부했다. 불은 사흘 밤낮으로 타올라 원명원 건물들을 잿더미로 만들고 인근 왕실 재산까지 파괴했다.
2020년 12월 기준으로 12개의 청동상 중 7개가 발견되어 중국으로 반환되었다. 나머지 5개의 행방은 아직 알 수 없다.[24]
참조
[1]
서적
Merchants of War and Peace
http://dx.doi.org/10[...]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7-05-01
[2]
학술지
The opium wars, opium legalization and opium consumption in China
[3]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the Opium Wars
http://www.druglibra[...]
[4]
백과사전
Chinese history: Opium Wars
https://www.britanni[...]
2024-04-16
[5]
웹사이트
Over 2000 years of economic history, in one chart
https://www.weforum.[...]
2021-11-28
[6]
웹사이트
Opium trade – History & Facts
https://www.britanni[...]
2018-07-03
[7]
서적
The Opium Wars: The Addiction of One Empire and the Corruption of Another
https://archive.org/[...]
Sourcebooks
[8]
웹사이트
A Century of International Drug Control
https://www.unodc.or[...]
[9]
뉴스
The Opium War's Secret History
https://www.nytimes.[...]
2018-07-03
[10]
서적
The Colonial Wars Source Book
London
[11]
서적
[12]
서적
Opium Wars: The Addiction of One Empire and the Corruption of Another
https://archive.org/[...]
Sourcebooks
[13]
웹사이트
China Commemorates Anti-opium Hero
http://news.cultural[...]
2009-06-04
[14]
서적
A Modern History of Hong Kong
I. B. Tauris
[15]
웹사이트
Treaty of Nanjing
https://www.britanni[...]
[16]
서적
[17]
웹사이트
Treaty Of Nanjing (Nanking), 1842
https://china.usc.ed[...]
[18]
서적
China at War: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19]
웹사이트
MIT Visualizing Cultures
https://visualizingc[...]
[20]
서적
Central Government Silver Treasury: Revenue, Expenditure and Inventory Statistics, ca. 1667–1899
BRILL
[21]
웹사이트
https://history.stat[...]
[22]
학술지
Internationale Studienergebnisse
http://dx.doi.org/10[...]
2018-07
[23]
학술지
Health Canada has warned consumers against using Nasutra because it has been found to contain sildenafil.
http://link.springer[...]
2006-05
[24]
뉴스
China: Looted horse head returns to Beijing's Old Summer Palace
https://www.bbc.com/[...]
2020-12-02
[25]
웹인용
아편, 淸이후 지위·여가 상징물로 토착화
https://www.sedaily.[...]
서울경제
2024-01-08
[26]
웹인용
중국 부 유출·아편전쟁 일으킨 ‘유사화폐’ - 주경철 교수의 문명과 바다 28. 아편
https://www.hani.co.[...]
한겨레 신문사
2024-01-08
[27]
웹인용
아편 (阿片)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01-07
[28]
웹인용
아편, 淸이후 지위·여가 상징물로 토착화
https://www.sedaily.[...]
서울경제
2024-01-07
[29]
웹인용
淸의 아편 탐닉, 결국 몰락의 길로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24-01-07
[30]
웹인용
'황제 파업'이 탄생시킨 차이나타운...세계 모든 대륙에 있다 [채인택의 세계 속 중국]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4-01-07
[31]
웹인용
淸의 아편 탐닉, 결국 몰락의 길로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24-01-07
[32]
웹인용
아편, 淸이후 지위·여가 상징물로 토착화
https://www.sedaily.[...]
서울경제
2024-01-07
[33]
웹인용
중국 부 유출·아편전쟁 일으킨 ‘유사화폐’ - 주경철 교수의 문명과 바다 28. 아편
https://www.hani.co.[...]
한겨레 신문사
2024-01-07
[34]
웹인용
[역사속 오늘리뷰] 8월 29일 난징조약 체결
http://www.financial[...]
파이낸셜 리뷰
2024-01-07
[35]
웹인용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아편은 서구제국의 고수익 사업…중국 4000만명 중독
https://sgsg.hankyun[...]
한국경제신문
2024-01-07
[36]
웹인용
[중국 가톨릭 박해사] (20) 아편전쟁 후의 천주교-불평등 조약 시기 (1)
https://m.catholicti[...]
가톨릭신문
2024-01-08
[37]
웹인용
'아편, 淸이후 지위·여가 상징물로 토착화'
https://www.sedaily.[...]
서울경제
2024-01-07
[38]
웹인용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아편은 서구제국의 고수익 사업…중국 4000만명 중독
https://sgsg.hankyun[...]
한국경제신문
2024-01-07
[39]
웹인용
'아편, 淸이후 지위·여가 상징물로 토착화'
https://www.sedaily.[...]
서울경제
2024-01-07
[40]
웹인용
[역사속 경제리뷰] 아편전쟁은 왜 일어났는가
http://www.financial[...]
파이낸셜 리뷰
2024-01-07
[41]
웹인용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아편은 서구제국의 고수익 사업…중국 4000만명 중독
https://sgsg.hankyun[...]
한국경제신문
2024-01-07
[42]
웹인용
중국을 2000년 무역흑자국 만든 ‘이것’…나라 망하게도 했다 [김기철의 역사를 바꾼 사물들]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24-01-07
[43]
웹인용
[역사속 경제리뷰] 아편전쟁은 왜 일어났는가
http://www.financial[...]
파이낸셜 리뷰
2024-01-07
[44]
웹인용
[오늘의 경제소사] 1841년 제2차 전비해전
https://www.sedaily.[...]
서울경제
2024-01-07
[45]
웹인용
[역사속 경제리뷰] 아편전쟁은 왜 일어났는가
http://www.financial[...]
파이낸셜 리뷰
2024-01-07
[46]
웹인용
제 1차 아편 전쟁(Opium War 1840~1842)
https://www.hanhodai[...]
한호일보
2024-01-07
[47]
웹인용
아편전쟁의 원인, 경과와 의의
http://www.kyungdosi[...]
경도신문
2024-01-07
[48]
웹인용
[역사속 경제리뷰] 아편전쟁은 왜 일어났는가
http://www.financial[...]
파이낸셜 리뷰
2024-01-07
[49]
웹인용
[유성운의 역사정치] 최고권력자 눈·귀를 가린 죄···청나라 아편전쟁 치욕의 교훈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4-01-07
[50]
웹인용
[유성운의 역사정치] 최고권력자 눈·귀를 가린 죄···청나라 아편전쟁 치욕의 교훈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4-01-07
[51]
웹인용
[유성운의 역사정치] 최고권력자 눈·귀를 가린 죄···청나라 아편전쟁 치욕의 교훈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4-01-07
[52]
웹인용
[유성운의 역사정치] 최고권력자 눈·귀를 가린 죄···청나라 아편전쟁 치욕의 교훈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4-01-07
[53]
웹인용
[유성운의 역사정치] 최고권력자 눈·귀를 가린 죄···청나라 아편전쟁 치욕의 교훈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4-01-07
[54]
웹인용
제2차 아편 전쟁
https://www.hanhodai[...]
한호일보
2024-01-08
[55]
웹인용
제2차 아편 전쟁
https://www.hanhodai[...]
한호일보
2024-01-08
[56]
웹인용
제2차 아편 전쟁
https://www.hanhodai[...]
한호일보
2024-01-08
[57]
웹인용
제2차 아편 전쟁
https://www.hanhodai[...]
한호일보
2024-01-08
[58]
웹인용
제2차 아편 전쟁
https://www.hanhodai[...]
한호일보
2024-01-08
[59]
웹인용
제2차 아편 전쟁
https://www.hanhodai[...]
한호일보
2024-01-08
[60]
웹인용
제2차 아편 전쟁
https://www.hanhodai[...]
한호일보
2024-01-08
[61]
웹인용
[새 연재 신명호의 근대 동북아 삼국지(1)] 서른 살 공친왕, 淸 실권을 장악하다
https://jmagazine.jo[...]
중앙일보사
2024-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